착한운전 마일리지 혜택
본문 바로가기

착한운전 마일리지 혜택

포유24 2025. 4. 17.

교통법규를 잘 지키는 운전자에게 보상을 주는 ‘착한 운전 마일리지 제도’!
단순히 안전 운전에 대한 격려를 넘어, 실제로 벌점 감경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알짜 정보입니다.


아래에서 혜택, 신청법, 조회방법, 유의사항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.

 

 

 

1. 착한운전 마일리지 혜택

무사고·무위반 1년을 실천하면 마일리지 10점을 적립할 수 있으며, 이 점수는 면허 정지 시 벌점 또는 정지 일수 감경에 사용됩니다.

 

  • 1년간 무사고·무위반 시 10점 적립
  • 마일리지 사용 시 벌점 또는 정지 일수 감경 가능 (10점 = 10점/10일 감경)
  • 서약만 잘 지켜도 운전면허를 지키는 보험 같은 제도

 

 

2. 혜택 적용 예시

실제 어떤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? 마일리지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예시를 통해 확인해보세요.

 

 

  • 예: 벌점 40점으로 40일 면허 정지 처분을 앞둔 상황
    → 착한 운전 마일리지 10점 보유 시
    → 벌점을 30점으로 감경하거나, 정지 일수를 30일로 줄일 수 있음
  • 선택은 본인 자유! 감경 방식은 신청 시 지정 가능

 

3. 추가적인 혜택

벌점 감면 외에도 착한 운전 마일리지를 꾸준히 관리하면 예상치 못한 혜택을 누릴 수도 있습니다.

 

 

  • 일부 보험사에서 착한 운전 마일리지 보유자에게 보험료 할인 제공
  • 마일리지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통해 자연스럽게 안전 운전 습관 형성
  • 무사고·무위반 이력은 신뢰도 높은 운전자로서 렌터카·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 시에도 유리

 

4. 유의사항

모든 상황에서 마일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. 아래 항목들을 반드시 숙지해 두세요!

 

  • 음주·난폭운전 등 중대 위반 시 마일리지 혜택 사용 불가
  • 벌점 감면은 자동이 아닌 본인 신청 필요 (경찰서 방문)
  • 과태료 미납 시 서약 및 마일리지 적립 불가
  • 서약 중 교통사고 또는 위반 발생 시 서약 해제, 이후 재신청 필요
  • 1년 단위 갱신 필수, 누적은 무제한 가능
  • 최대 사용 한도: 30점 (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마일리지 상한)

 

 

5. 착한 운전 마일리지 신청 방법

신청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.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누구나 할 수 있어요.

 

 

 

온라인 신청

  • 이파인 교통민원24 접속 → 로그인 → '착한운전 마일리지' 메뉴에서 신청
  • 또는 🔍정부24 → '교통민원' 검색 후 신청
  • 공동인증서, 금융인증서, 간편인증 로그인 필요

 

 

방문 신청

  • 가까운 경찰서, 지구대, 파출소 방문
  • 신분증 지참 후 신청서 작성 및 제출

 

6. 착한 운전 마일리지 조회 방법

내가 몇 점을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어렵지 않습니다.

 

온라인 조회

 

 

 

방문 조회

  • 경찰서, 지구대, 파출소 방문 후 신분증 제시 → 담당자에게 마일리지 조회 요청

 

 

7.  착한 운전 마일리지의 한계 및 고려사항

이 제도도 완벽하지만은 않습니다. 알고 있어야 할 몇 가지 현실적인 부분도 짚고 넘어갈게요.

  • 사고 시 본인 과실이 없어도 적립 무효 가능성 존재
  • 제도 자체가 ‘벌점 감면’에 한정, 벌점 면제나 사고 자체를 무효화하지는 않음
  • 장기 무사고 운전자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 부족 → 제도 확대 필요
  • 일부 운전자는 “1년 단위 갱신이 번거롭다”는 의견도 있음

 

 

8. 마무리 Tip

‘착한 운전 마일리지’는 단순한 벌점 제도가 아닌, 운전 습관 개선을 위한 인센티브 시스템입니다.
매년 한 번 서약하고 1년 동안 안전운전만 해도 벌점 방어권을 획득할 수 있으니 꼭 활용해보세요!

 

 

댓글